본문 바로가기
운동상식

역사로 알아보는 발레의 기원

by 지딴 2023. 11. 8.
반응형

발레의 기원에 대하여

발레는 15세기경 이탈리아에서 사교를 위한 춤으로 시작하여 상류층의 애호를받았습니다. 왕과 귀족들은 발레 마스터들에게 지도를 받았고, 여흥무대를 꾸밀 때는 중요한 사람이 서두를 여는 형식으로 발레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는 카테린 드 메디치(Catherine de Me’dicis, 1519-1589)에 의해프랑스로 전해져 궁정발레(Ballet de Cour)로 자리 잡았습니다. 발레의 초기 형태인궁정발레는 현대인에게 익숙한 ‘극장예술로서의 발레’와는 달리 극소수 지배계층만이향유하는 사교 형태이자 여흥 방식이었습니다.

 

희극으로써 발레의 발달 시기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발레 마스터 발티자르 드 보즈와이으(Balthasar de Beaujoyeulx,1555-1587) 가 1581년 제작한 루이즈 여왕의 희극발레(Ballet Comique de la Reine Louise)는 춤 발달사에서 결정적인 전환을 이루어냈습니다. 본래 이는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제작된 작품이었는데, 대본, 음악, 의상, 춤이하나의 주제를 향해 제작되었다는 점이 특이할 만합니다. 이전에는 ‘안무’라는 개념에 근거한 무용 표현이 없었고, 공인된 궁정 춤의 패턴 혹은이를부분적으로 변형한 패턴을 넘어서는 총체적인 무용 패턴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연희와 오락의 대상으로만 여겨지던 춤

교육적인 면모를 지니게 된 것은발레마스터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뒤의 일이었습니다. 덕택에 발레는 일종의 교양으로자리잡았고, 이는 이후의 발레 교육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습니다. 이탈리아의 무용수이자 교사였던 체자레 네그리(Cesare Negri, 1535-1605)와 파브리티오 카로소(Fabritio Caroso, 1526/1535-1605/1620)는 각자의 저서 춤의 새로운 기법(Nuove lnventioni di Balli)과 발레리노(Il Ballarino)에서 이미 정교한 스텝과동작어휘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다리와 발을 곧게 뻗으라 요구하는 한편, 오늘날과같은턴 아웃(Turn-Out)까지 요구하였습니다.더불어 네그리는 오늘날의 바 워크(Barre Work)와 유사한 형태를 최초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17세기의 프랑스에서 발레

루이 14세(1638-1715)는1661년에 최초의 발레학교인 왕립무용학교(Academi Royal de Dance)를 설립하였고,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와 보샹(Pierre Beauchamp, 1636-1705) 등이 활약하면서 궁정발레는 점차 무대예술로 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발레의기본 테크닉까지 확립시켜, 귀족들의 여흥이던 발레가 점차 전문 무용수를 위한춤으로 기틀을 다지게 됩니다. 가령 보샹은 발레의 기본 발 포지션 다섯 가지를 확립하고, 프로시니엄 무대에서 무용수의 전면이 많이 보이도록 하는 턴 아웃 기법을 정착시켰습니다.

 

루이 14세는 무보(舞譜) 체계를 고안

체계를 발표한 것은 보샹이 아니라 푀이예(Raoul Auger Feuillet, 1650-1709)였습니다. 이 무보에는 여러 가지 스텝을 묘사한 그림이 실려 있는데, 이스텝가운데는 오늘날에도 인정받을 만한 것들이 상당수 있습니다. 무보에 포함된 동작은보샹의 다섯 가지 발 포시션을 비롯하여 앙 드오(En Dehors), 앙 드당(En Dedans), 쿠페(Coupé), 부레(Bourree), 샤세(Chasse), 주테(Jute), 시손느(Sissonne), 피루엣(Pirouette), 카브리올(Cabriole), 앙트르샤(Entrechat), 아상블레(Assemblé), 바트망(Battement)등의 동작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발레를 독립된 예술로 발전시킨 것은 최초의 발레 이론가 장 조르주 노베르(Jean Georges Noverre, 1727-1810)의 공적이었습니다. 전문 무용수들에 의해 발레가 공연되던 18세기에 영국인 존 위버(John Weaver, 1673-1760)는 마르스와 비너스(The Loves of Mars and Venus)라는 작품을 발표했는데, 이는 연극과 오페라의막간에서 분리되어 나온 최초의 ‘무언극 발레’였습니다. 노베르는 이 작품을 지지하였고, 그러한 견해를 무용과 발레에 대한 편지라는 공식 문서로 발표하여 발레가독립된 예술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습니다.

 

18세기 말의 낭만주의 운동

프랑스혁명, 나폴레옹 전쟁, 산업혁명 등의 회오리를 겪으며 그늘져 있던 대중의마음을 이국적인 정취와 환상적인 이야기로 사로잡았고, 이를 통해 발레는 다시 한번크게 도약하였습니다. 대표적인 낭만발레 라 실피드(La Sylphide와 지젤(Giselle)의 등장으로발레 테크닉은 놀랄 만큼 발전합니다. ‘발레의 전성기(Grand Age)’라 불리는 이 시대에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카를로 블라시스(Carlo Blasis, 1797-1878)입니다. 그는 나폴리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어린 시절을보내며 노베르에게 이론을 배우고 도베르발(Jean Dauberval, 1742-1806)에게서실기를 접하였습니다. 이후 1817년에 이탈리아로 돌아가 ‘라 스칼라’에 몸담았고 나중에는이곳의 교장까지 역임하였습니다.

 

블라시스는 무용수이자 지도자로서 1820년 무용예술의 기초 이론과 실기에관한 연구(Traité, Elémentaire, Théorique et Pratique de l’Art de la Danse)를출판하여, 무용수에게는 효율적인 연습이, 교사에게는 인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는 이러한 신념에 따라 무용수로 적합한 신체 구조 기준을제시하는 한편 신체 움직임의 원리도 확립하였습니다. 또한, 블라시스가 정립한 바워크는 플리에(Plié)부터 시작하는 고전적인 움직임으로 구성되어 현 체계의 기초를 이룹니다. 블라시스는 엔리코 체케티(Enrico Cecchetti, 1850-1928)를비롯한 12명의 무용 거장들을 배출하였고, 이들은 이후 발레의 형태를 완성하는 데이바지하였습니다. 이처럼 프랑스에서 독자적인 예술로 자리 잡은 발레는 이후 러시아로 넘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발레는 낭만발레 및 고전발레라는 형식을 확립하며 극장예술로 꽃을 피웁니다.

 

백조의 호수(Swan Lake), 잠자는 숲 속의 미녀(Sleeping Beauty),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등 주옥같은 명작들이 탄생하고, 보다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전문 무용수들도 등장하여 눈부신 테크닉 발전을이루었습니다. 반면 발레는 아무나 연기할 수 없는 극장예술이자 관람을 위한 고급문화라는 인식 역시 이 시기부터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20세기에 접어들며 발레의 움직임은 더욱 적극적으로 바뀌고 형태도 다양해집니다. 그 시작에 있었던 단체가 발레 뤼스(Ballet Russe)이다. 발레 뤼스는 여러 분야의예술가들과 함께 작업하며 발레를 명실상부한 종합예술로 부상시켰고, 새로운움직임과 주제를 도입하여 발레의 범주를 크게 확장시켰습니다.

 

발레 뤼스의 후예

오늘날 세계적인 발레단으로 평가받는 미국의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American Ballet Theatre)’와 ‘뉴욕 시티 발레단(The New York City Ballet)’, 프랑스의 ‘파리 오페라발레단(Opéra national de Paris)’과 영국의 ‘로열 발레단(The Royal Ballet)’, 모나코의 ‘몬테카를로 발레단(Les Ballets de Monte-Carlo)’ 등을 설립하거나, 이들 단체의지위를 더욱 분명한 위치까지 끌어올렸습니다. 21세기의 발레는 기존의 고급문화 이미지를 그대로 간직한 채 교양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대중은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양식의 발레 공연을 접할수있습니다.

 

여러 발레단과 극장에서 발레 아카데미가 운영되는가 하면 대학에서도관련교양강좌가 개설됩니다. 어린아이들에게 발레는 자세 교정, 기본 에티켓 습득, 감성교육을 위한 필수 교양이 되어가고 있으며, 일반 성인들에게도 이는 취미 교양으로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최근에는 타 분야와 발레와의 융합도 자연스럽게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정 계층만의 문화로 출발한 발레가, 이제 그 본질적인 특성을잃어버리지 않으면서도 일반 대중들의 교양이라는 더 확대된 개념으로 발전하고있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