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의 정의와 방법
단식요법이란일정 기간 동안 일체의 음식을 금함으로써 장내의 숙변을 제거하고 체내에 축적된 각종 독소를 배설시키는 적극적인 수단으로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소화기의 흡수 기능을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행해지는 초저열량 식이요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단식dms
보통 1일 내지 7일 정도 계속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주일 이상 단식하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감독 하에 하든지 아니면 경험이 있는 사람들만이 해야 합니다. 단식의 종류로는 물만 마시는 전통적 생수 단식 요법과 생수 이외에 다른 음식물을 조금씩 섭취하는 변형단식으로 구분됩니다. 변형단식은 체력이 약하거나 의지력이 약해서 생수 단식을 하기 힘든 경우에 시행하는 요법으로 섭취하는 물질에 따라 효소단식, 주스단식, 벌꿀 단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간헐적 단식의 정의와 방법
간헐적 단식은 현재 정확한 정의가 내려진 바가 없습니다. 간헐적 단식의 종류를 살펴보면,16시간 단식 후 소량의 칼로리를 섭취하는 방법, 5일간의 일반식 후 48시간의 단식, 4일중 1일의 24시간 단식, 3일중 1일의 24시간 단식, 2일중 1일의 24시간 단식, 7일 중 2일의 24시간 단식 후 600kcal의 저열량 섭취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명확한 정의는 아직 내려진바가 없으며, 단식 중에는 생수 혹은 블랙커피와 같은 초 저칼로리의 음료를 섭취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식이 신체조성과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3일간의 단식으로 인한 신체조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평균체중이 2.9kg이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체질량지수도 1.1kg/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습니다. 체지방량은 평균 1.9kg 감소하였고, 체지방율도 평균 1.2%가 감소하였습니다. 근육량 역시 평균 0.9kg로 감소하였습니다. 5일 단식을 통한 신체조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중에서 남자는 평균 2.71(±1.17)kg, 여자는 평균 2.69(±1.11)kg으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체질량 지수는 남자에서 0.94(±0.55)kg/ 여자에서 1.18(±0.46)kg 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습니다.
단식,단수가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하면,1,2,3,5일간의 단식을 통하여 마우스의 SRBC(양적혈구)와 DNFB(다이나이트로플루오로벤진)에 대한 DTH(탈모 유발 호르몬)반응이 항진되었습니다. 단수,단식 및Cyclophosphamide 투여에 의한 마우스의 면역반응 변조에 대한 연구를 통하면, Cyclophosphamide투여 전 48시간 동안 마우스에게 단수와 단식을 시킨 후 DNFB에 대한 접촉성과민반응과 SRCB에 대한 DTH반응을 항진시켰습니다.
간헐적 단식이 신체조성과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비비만자들에 대한 간헐적 단식:체중,신체조성,그리고 에너지 대사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를 보면, 비비만 남성과 여성 각 8명씩을 21일간 간헐적 단식을 실시한 결과, 2.5±0.5%의 체중감소,4±1%의 체지방률 감소를 나타내었습니다. “겨울과 봄의 간헐적 단식이 이동하는 오리의 신체조성과 생식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를 보면, 3월에서 5월까지 격주단위로 일주일 중 2일 단식과 일주일 중 4일 단식을 번갈아서 시킨 결과, 검은 오리들의 체중이 10∼14%의 체중 감소 결과를 나타내었습니다. 간헐적 단식이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국내와 해외에도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라마단 단식이 염증사 이토카인세포와 면역세포를 약화시킨다.”는 유사논문이 존재하는데,이 논문에서는 라마단 단식 전(T₁), 30일간의 라마단 단식 마지막 날(T₂), 그리고 라마단 단식 끝나고 30일 후의 3회에 걸친 염증사이토카인과 면역세포를 관찰한 결과, 염증사이토카인세포에 해당하는 IL-6에서 각각 155.85(±121.18)pg/mL, 67.42(± 51.25)pg/mL, 109.6(±75.6)pg/mL 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IL-1β에서 각각 17.84(±17.92)pg/mL, 3.89(±4.84)pg/mL, 17.59(±17.33)pg/mL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TNF-α 에서 각기 179.62(±129.56)pg/mL, 52.22(±57.25)pg/mL, 147.62(±120.07)pg/mL 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습니다.
면역세포에 해당하는 Granulocytes
각각 6.74(±1.67)109/L, 5.79 (±1.42)109/L, 6.51(±1.91)109/L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Lymphocytes에서는 각각 4.02(±1.37)109/L, 3.44(±1.20)109/L, 3.70(±1.32)109/L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습니다.Monocytes에서도 각각 2.32(±0.71)109/L, 2.06(±0.52)109/L, 2.17(±0.86)109/L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