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상식

필라테스의 기원에 대하여

by 지딴 2023. 11. 8.
반응형

필라테스를 창시

요제프 필라테스(Joseph H. Pilates, 1883-1967)는4남매 중 한 명으로 독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매우 허약한 체질을 타고나, 구루병, 천식, 류마티스 등을 앓으며 고생스러운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유년기에는 이를 극복하고 건강해질 것을 결심하여 보디빌딩, 체조, 스키, 다이빙 등을 포함한 많은 운동을하는 동시에 다양한 식이요법을 병행하였습니다. 다행히 그의 아버지는 우승 경험이있는 체조 선수였고 어머니는 자연요법 치료사였기에, 그는 자연스레 동양과 서양의운동요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건강한 삶에 대한 생각의 폭도 넓힐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과 노력의 결실로 필라테스는 14세가 되던 해에 해부학 교재의 표지모델로 발탁될 만큼 건강한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필라테스 독창적인 운동법 체계

필라테스의 독창적인 운동법을 고안하기 시작한 장소는 제1차 세계대전이발발한 직후의 영국 포로수용소였습니다. 한 자리에 머물 수밖에 없는 부상자들이운동할 수 있도록 침대 스프링을 이용해 급히 만들었던 기구가 그 체계의 시초가되었습니다. 필라테스는 이 체계를 ‘조절학(Contrology)’이라 불렀다. 종전후독일로 돌아와 만난 움직임 분석가 루돌프 라반 (Rudolf von Laban, 1879-1958)은그에게 운동법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필라테스의 재구성

무용가이자 안무가인마리 비그만(Mary Wigman, 1886-1973)이 무용 수업을 위한 준비운동(Warm-Up)의 일환으로 필라테스의 운동을 재구성했습니다. 필라테스는 1926년에, 이후 뉴욕 시티 발레단이 사용하기도 한 건물에 머무르며필라테스 스튜디오를 열었습니다. 무용가들 사이에서 필라테스의 신체 훈련법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때부터였습니다.

 

미국 발레와 모던 댄스의 초창기

1930-40년대에 조지 발란신(George Balanchine, 1904-1983), 테드 숀(Ted Shawn, 1891-1972), 루스 데니스(Ruth St. Dennis, 1879-1968), 마사 그레이엄(Matha Graham, 1894-1991), 하냐 홀름(Hanya Holm, 1893-1992)과 같은 무용계선각자들이 다친 무용수들을 필라테스에게 보내 신체를 교정했고, ‘조절학’은 많은 무용수를 훈련하는 주요 재활법이 되었습니다.

 

필라테스의 1세대 제자인 캐시 그랜트(Kathy Grant, 1921-2010)는 미국 뉴욕대학에서 필라테스를 가르치며 그의 뜻을 이어나갔습니다. 필라테스 생전에 많은 의사가 그의 운동법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당시 의료계는 적절한 물리치료 설비에 대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필라테스를수동적인 의료 보조법으로만 간주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필라테스는 한동안 의학과함께 발전하지 못하였고, 1983년에야 비로소 의료계로 유입될 수 있었습니다. 당시 샌프란시스코 성 프란시스 병원에서 정형외과의로 근무하던 제임스 게릭(James Garrick)박사가 무용수를 위한 의료 클리닉을 만들면서 필라테스의 1세대 제자인 론 플레처(Ron Fletcher, 1921-2011)를 고용했던 것입니다.

 

필라테스 운동법

자이로토닉(Gyrotonic), 알렉산더 기술(Alexander Technique), 펠덴크라이스(Feldenkrais) 등의 운동 치료와 결합하여, 기왕에 부족했던‘무용가들의 구체적 운동’ 역할을 채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무용가들은 그들의전문분야에 필수적인 연습을 시행함과 동시에 이 운동의 양도 함께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필라테스는 무용수의 재활운동이었던만큼 무용수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발레와 필라테스의움직임

발레와 필라테스의 원리란 실상 하나로 수렴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더불어 필라테스를 널리 보급한 1세대 제자들 대부분도 발레 무용수였던 만큼, 필라테스는 초기보다 무용수의 신체 조건에 더욱 알맞도록 발전해왔다고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1995년에 이르러 필라테스의 ‘조절학’은 미국 전역에 알려지며 대중들의 큰인기를 얻었고, 웹스터 사전에 ‘필라테스’가 등재되기에 이르렀습니다.

 

2000년대 이후로는 관련 운동법의 이름이 필라테스로 총칭되면서 전 세계로 전파되고 있습니다. 무용수들에게는 필라테스가 일찌감치 필수 교육과정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일반대중에게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였습니다. 한국에는 2000년대 초반에이르러 유입되었습니다. 지금은 주요 대학교 및 예술고등학교의 무용과 강좌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전문 센터에서 무용수를 위한 필라테스 강의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